UPDATE : 2024-03-28 23:57 (목)
5월 '컨'처리량 9% 추락…코로나19 직격탄 맞아
5월 '컨'처리량 9% 추락…코로나19 직격탄 맞아
  • 항만산업팀
  • 승인 2020.06.23 14:51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 항만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크게 줄었다.

해양수산부는 전국 항만의 5월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져 전년 동월(255만TEU) 대비 9.1% 감소한 232만TEU를 기록했다고 밝혔다.

수출입화물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.0% 감소한 130만TEU를 기록했다. 중국의 항만운영 정상화에 따른 물량 증가에도 불구,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전반적인 교역량 감소로 130만TEU(11.0%↓) 처리에 그쳤다.

환적화물은 인천항 글로벌 선사 신규항로 개설 등에 따른 물동량 증가(70%↑) 요인이 있었으나, 얼라이언스 재편으로 광양항 물동량이 크게 감소(46.5%↓)하고 부산항도 감소(4.7%↓)하여 전체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6.5% 감소한 100만TEU를 기록했다.

전년 동기 대비 적(積)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감소(11.3%↓)하고, 공(空) 컨테이너 처리 실적도 소폭 감소(0.3%↓)함에 따라, 컨테이너 화물중량(내품) 기준, 2020년 1~5월 누적 처리량은 2억414만톤(11.4%↓)으로 집계되었다.

특히, 월별로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어, 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. △(1월) 4351만톤으로 전년 동기(4459만톤) 대비 2.4% 감소 △(2월) 3957만톤으로 전년 동기(4212만톤) 대비 6.0% 감소 △(3월) 4334만톤으로 전년 동기(4966만톤) 대비 12.7% 감소 △(4월) 3971만톤으로 전년 동기(4638만톤) 대비 14.4% 감소 △(5월) 3801만톤으로 전년 동기(4759만톤) 대비 20.1% 감소.

항만별로 살펴보면, 부산항은 전년 동월(192만TEU) 대비 11.5% 감소한 170만TEU를 기록했다. 수출입 화물은 대(對)중국 수출입 물동량이 0.7% 증가하였지만, 미국(27.8%↓), 일본(8%↓)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19.1% 감소한 73만TEU를 처리했다. 환적화물은 중국과 일본으로부터의 공컨 처리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, 미국을 비롯한 북미지역 물동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4.7% 감소한 97만TEU를 처리했다.

광양항은 전년 동월(21만TEU) 대비 13.9% 감소한 18만TEU를 기록했다. 수출입화물은 코로나19의 영향 지속 및 기항선대 축소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7000TEU(4.2%↓) 감소한 15만6000TEU를 처리했다. 환적화물은 선사들의 광양항에 대한 서비스 축소 및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임시 결항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46.5% 감소한 3만TEU를 처리했다.

인천항은 코로나19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연초 개설된 신규항로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중국, 베트남, 홍콩,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와 교역량이 늘어나면서 전년 동월(26만9000TEU) 대비 4.2% 증가한 28만1000TEU를 기록했다. 특히 중국 상해, 청도 등 항만과의 교역량 증가(17만6000TEU, 6.8%↑) 및 인도네시아 자카르타, 벨라온 항만과의 물동량 증가(7000TEU, 28.9%↑) 영향으로 전체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.

세계 10대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처리량(2020년 4월 기준)은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른 교역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, 상하이항은 351만TEU(전년 동월 대비 2.8%↓)를 처리하여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, 싱가포르항(284만TEU, 5.0%↓), 닝보-저우산항(214만TEU, 4.9%↓), 광저우항(197만TEU, 5.3%↑)이 각각 2~4위를 기록했다.

부산항의 경우, 전년 동월(187만TEU) 대비 2.4% 감소한 182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주요항만 물량 감소율(4.6%)에 비해 양호한 실적을 기록, 중국 선전항(171만 TEU, 17.8%↓)을 제치고 5위로 전년보다 한계단 상승했다.

전국 항만의 5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8073만톤으로 전년 동월(8739만톤) 대비 7.6% 감소하였으며, 울산항과 평택·당진항, 광양항은 감소세를 나타낸 반면, 인천항은 증가세를 보였다.

광양항은 전년 동월(2,190만톤) 대비 5.8% 감소한 2,063만 톤을 기록했다. 유류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, 광석, 유연탄의 수입, 철제의 수출입 물동량은 크게 감소했다.

울산항은 전년 동월(1672만톤) 대비 9.6% 감소한 1512만톤을 기록했다. 자동차, 화공품 수출입 물동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나, 유류 물동량은 증가했다.

인천항은 전년 동월(782만톤) 대비 2.5% 증가한 801만톤을 기록했다. 유류와 자동차 수출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, 광석과 모래 물동량은 증가했다.

품목별로 보면 유류는 전년 동월 대비 2.3% 증가하였으나, 광석, 유연탄은 각각 7.0%, 8.0% 감소했다. 유류는 울산항과 대산항의 수출입 물동량이 감소하였으나 광양항의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(3719만톤) 대비 2.3% 증가한 3805만톤을 기록했다.

광석은 포항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, 평택·당진항과 광양항의 수입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(1153만톤) 대비 7.0% 감소한 1072만톤을 기록했다.

유연탄은 인천항, 보령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, 광양항, 포항항, 대산항의 수입 물동량이 감소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(1035만톤) 대비 8.0% 감소한 952만톤을 기록했다.

자동차는 평택·당진항과 광양항, 울산항, 목포항 등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(703만톤) 대비 42.5% 감소한 405만톤을 기록했다.

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“현재 시행 중인 항만시설사용료 감면, 경영자금 지원 등 항만하역업계에 대한 지원대책을 보완하는 한편,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물류환경에 대비하여 하역요금신고(인가)제와 항만시설 전용사용료 체계의 개편을 검토해 나가고, 스마트 물류시설 확충 등 새로운 수요에 입각한 시설투자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”라고 말했다.

한편, 2020년 5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1874만톤으로 전년 동월(1억3498만톤) 대비 12.0% 감소(2020년 1~5월 누적 5.7% 감소)했다. 수출입 물동량은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계속되면서 전년 동월(1억1666만톤) 대비 14.0% 감소한 총 1억32만톤으로 집계됐다. 연안 물동량은 총 1842만톤으로 전년 동월(1832만톤) 대비 0.6% 증가했다. 인천 지역 모래 채취허가 재개(2019.10)에 따라 모래 물동량이 176만톤(연안 물동량의 9.6%)으로 전년 동월(32만톤) 대비 크게 증가한 것이 원인이다.

◆ 하역요금신고(인가)제 : 물류협회, 하역사, 무역협회와 공동으로 항만하역요금표 개선, 인상률 결정방식 변경 검토 ◆ 항만시설전용사용료 체계 개편 : 항만시설사용료 개편 TF 구성(해수부, PA 공동), 7월 초 연구용역 발주(항만시설전용사용료(하역사), 선박료(선사) 부과방식 및 인상률 등 검토)

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 0
댓글쓰기
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·계정인증을 통해
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