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컨테이너 운임 하락과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HMM의 지난 1분기 실적이 감소세를 보였다.
15일 HMM의 발표에 따르면, 지난 1분기 매출은 2조816억원으로 전년동기 4조9187억원에 비해 58%(2조8371억원)이 감소했다.
이 기간 영업이익도 3069억원으로 전년동기 3조1489억원에 비해 90%(2조8417억원) 줄었다. 당기순이익은 2853억원으로 전년동기 3조1317억원에 비해 2조8464억원 급감했다.
지난해 1분기 평균 4851p였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(SCFI)가 올해 1분기 평균 969p로 하락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.
또한, 지난 2020~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이슈가 해소되면서 글로벌 해운시장의 운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.
하지만, 항로 합리화, 화물비용 축소 등 원가구조 개선 노력으로 컨테이너, 벌크 부문(Tanker, Dry Bulk 등) 모두 영업이익 달성. 영업이익률 또한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양호한 14.7%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.
앞으로의 상황도 녹록치가 않다. HMM은 러시아-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면서 에너지 가격 부담으로 약화된 소비가 회복되지 않고 있으며, 각 국가들의 금리 인상 및 긴축 재정 정책으로 글로벌 수요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
HMM은 운영효율 증대, 단위운송비 등 비용절감 방안을 더욱 정교화해 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.
더불어 전세계 해운업계의 최대 관심사인 친환경 규제에 대비한 투자를 비롯해 차별화된 해운 서비스, IT 시스템 개선 등 ESG 경영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.
